김은준
김은준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AI요약
김은준 연구단장은 KAIST 시냅스뇌질환연구단을 이끌며 시냅스 기능 이상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뇌의 핵심 연결 부위인 시냅스의 형성, 발달, 기능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치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등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의 병인과 진행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시냅스 단백질의 역할을 분석하고, 시냅스 기능 이상이 뇌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뇌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분자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김 연구단장의 연구는 뇌 질환 치료 패러다임 전환과 건강한 삶 증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초 연구 성과를 임상에 적용하는 중개 연구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은준 |
| 직책 | 연구단장 |
| 이메일 | kime@kais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3502633 |
| 연구실 | 시냅스뇌질환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molneuro.kaist.ac.kr/ |
| 홈페이지 | https://molneuro.kaist.ac.kr/24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경력정보
| 회사명 |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 재직기간 | 2012.07.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으로서 뇌신경질환 및 정신질환 발생 원인 규명, 치료법 개발 연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폐증 및 웨스트 증후군 등 희귀 뇌발달 질환의 유전적 원인과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밝히며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합니다. |
| 회사명 | 국가창의연구사업 시냅스생성연구센터 |
| 재직기간 | 2003.07.01 ~ 2012.05.31 |
| 담당업무 | 센터장으로서 신경세포 간 연결인 시냅스 생성 원리 규명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이 연구는 뇌 기능 이해의 핵심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
| 재직기간 | 2000.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생명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하며 뇌신경과학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7년 우수 강의 교원으로 선정되는 등 학술 활동과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부산대학교 |
| 재직기간 | 1997.03.01 ~ 2000.02.28 |
| 담당업무 | 약리학과 조교수로서 뇌 신경계 질환 관련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
| 회사명 | Harvard Medical School |
| 재직기간 | 1995.01.01 ~ 1997.02.28 |
| 담당업무 | 신경생물학 분야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뇌의 시냅스 형성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Nature지에 발표하는 등 신경과학 분야의 중요한 기초 연구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
| 회사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
| 재직기간 | 1988.03.01 ~ 1991.08.31 |
| 담당업무 |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생명공학 분야 기초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
중요 키워드
#ADHD#기술사업화#NMDA 수용체#뇌질환#시냅스#시냅스 단백질#신약개발#신경과학#웨스트증후군#정신질환#CYFIP2 유전자#GIT1 단백질#자폐증#뇌발달질환#공동연구
연구 분야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2018 아산의학상 (아산사회복지재단) - 2014 올해의 KAIST인상 (KAIST) - 2013 포스코청암상 (POSCO) - 2012 인촌상 (동아일보) - 2012 생명과학상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2011 KAIST 석좌교수 (KAIST) - 2011 학술대상 (KAIST) - 2010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2005 생명약학우수논문상 (생명약학회) - 2004 제8회 젊은과학자상 (과학기술부) - 2003 학술상 (KAIST) - 1991 국비장학생 (교육부) [학회/강연 활동] - 2024 KSBNS 행사에서 ISN Lecture 발표 - '시냅스, 생쥐, 그리고 정신질환' 주제 강연 진행 - 2020년 31회 KSMCB 동계학술대회에서 "NMDA Receptor Dysfunction and Sexual Dimorphism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강연 - 2020 KAIST-Harvard 신경과학 심포지엄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의 NMDA 수용체 및 mTOR 기능 이상' 강의 - '뇌(Brain)' 서적 8강 '시냅스, 생쥐, 그리고 정신질환' 강의 |
학력
| 학력 사항 | Michigan State University 약리학 및 독성학 박사 (1994) KAIST 생물과학 석사 (1988) 부산대학교 약리학 학사 (1986)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