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이효철 교수는 IBS 첨단반응동역학연구단 및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에서 화학 반응의 본질과 나노물질의 동역학적 거동을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펨토초 시간 분해능 회절 및 초고속 분광 기술을 활용하여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의 순간적인 구조 변화와 전이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나노 촉매 반응, 광유도 현상, 생체 분자 시스템에서의 동역학 메커니즘을 밝혀내며 기초 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최첨단 X-선 자유전자 레이저(XFEL)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의 초고속 현상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소재 개발, 에너지 효율 증대, 생명 현상 이해 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한 학술적, 산업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효철 |
| 직책 | 부연구단장 |
| 이메일 |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82423502844 |
| 연구실 |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html/cncr_en/ |
|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_prog/_personnel/?site_dvs_cd=cncr_en&menu_dvs_cd=0212&posi_dvs_cd=501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Center for Nanomaterials and Chemical Reactions |
| 재직기간 | 2015.07.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부연구단장으로 재직하며 혁신적인 분자 구조동역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Center for Nanomaterials and Chemical Reactions |
| 재직기간 | 2012.11.01 ~ 2015.06.30 |
| 담당업무 |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그룹 리더 역임. |
| 회사명 | KAIST 화학과 |
| 재직기간 | 2009.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시간분해 엑스선 회절을 이용한 분자구조동역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기존 학계의 고정관념을 혁신하고 한계를 돌파하는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거듭 달성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화학과 |
| 재직기간 | 2006.03.01 ~ 2009.02.28 |
| 담당업무 | KAIST 화학과 부교수 역임. |
| 회사명 | KAIST 화학과 |
| 재직기간 | 2003.09.01 ~ 2006.02.28 |
| 담당업무 | KAIST 화학과 조교수 역임. |
| 회사명 | Center for Time-Resolved Diffraction |
| 재직기간 | 2007.05.01 ~ 2012.11.30 |
| 담당업무 | 시간분해회절 연구단 단장 역임. |
| 회사명 | University of Chicago |
| 재직기간 | 2001.12.01 ~ 2003.07.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활동 수행. |
| 회사명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재직기간 | 2001.06.01 ~ 2001.11.30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활동 수행. |
| 활동 내용 | [주요 보직] - IBS 첨단 반응 동역학 연구단 단장 (2021-현재) -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부연구단장 (2015.07-현재) - 시간분해회절 연구단 단장 (2007.05-2012.11) [학회 활동] - 한국과학기술 한림원 정회원 (2024-현재)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창립 회원 - 'Chemical Communications' 저널 특별호 논문 게재 초청 [대외 기고] - '과학동아', 'ISSUE MAKER', '대전일보', 'KAIST비전' 등 매체에 글 기고 [수상 내역] - 제34회 삼양그룹 수당상 (기초과학 부문) - 2015년 KAIST인 상 - 2006 젊은 과학자상 (과학기술부/한국과학기술한림원) - 2006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06 KAIST 학술상 - 2001-2003 미국 대먼 러년 암재단(Damon Runyon Cancer Research Foundation) 펠로우쉽 - 2022년 학술대상 - 우수강의상 - 개교기념표창 우수강의상 - Morino Lectureship Award |
| 학력 사항 | Ph.D.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hemistry (2001.06) M.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hemistry B.S. KAIST Chmistry (1994.02)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