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안광석 교수는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HCMV)의 잠복 및 재활성화 메커니즘과 숙주-바이러스 상호작용에서 레트로엘레먼트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전략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RNA연구단의 일원으로서 RNA 생물학, 특히 마이크로RNA(miRNA)의 조절 및 기능, RNA 꼬리 변형, RNA 결합 단백질의 역할을 밝히고 새로운 RNA 연구 기법과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감염성 질환, 암,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생과 진행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안광석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sahn@snu.ac.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RNA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28809233 |
| 연구실 | 면역제어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biosci.snu.ac.kr/ksahn |
| 홈페이지 | -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SNU 바이러스연구소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22–현재: Director |
| 회사명 | 창의연구센터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06–2015: Director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04–현재: 교수 |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RNA 연구단 연구원 |
| 연구 1 |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 및 면역 회피 전략 연구 |
| 내용 | 안광석 교수는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깊이 있게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특히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HCMV)의 잠복 및 재활성화 메커니즘에 집중하여 바이러스가 어떻게 숙주의 면역 감시를 회피하고 장기간 생존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바이러스 핵 내 진입 과정과 잠복 감염의 확립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바이러스성 긴 비번역 RNA(lncRNA)가 HCMV 잠복 및 재활성화에 미치는 역할과 후성유전학적 특징을 규명하여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전략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HCMV 잠복 감염 세포에 대한 치료 표적을 발굴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STING 등 숙주 단백질이 바이러스 유전체의 핵 수송을 촉진하는 기전을 밝혀 바이러스 감염 초기 단계의 이해를 넓혔습니다. 또한, Roquin이 IRF1 매개 항바이러스 상태에 대항하는 HCMV의 전략을 연구하여 바이러스가 숙주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방식을 규명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감염성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항바이러스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의 핵심적인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감염병뿐만 아니라 암,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인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RNA 조절 메커니즘 및 기능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RNA가 생명체를 제어하는 근본 원리를 이해하고, RNA의 조절 메커니즘과 그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마이크로RNA(miRNA), RNA 꼬리 변형, RNA 결합 단백질 등 다양한 RNA 분자의 동정과 기능 연구를 통해 유전자 발현 조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miRNA가 어떻게 생성되고 조절되며 작용하는지, 그리고 줄기세포 및 배아 발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여 miRNA 연구에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드로셔와 같은 miRNA 생성 효소의 구조를 규명하고, miRNA들이 유리딘화와 아데닐화를 통해 변형되고 제어되는 과정을 밝혀 RNA 조절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mRNA의 말단 꼬리 부위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유형의 변형(유리딘꼬리, 아데닌꼬리, 혼합꼬리)을 발견하고, 이러한 꼬리 변형이 mRNA의 분해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유전자 조절의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RNA-단백질 복합체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전사체-단백질체 수준에서 분석하고, 세포주기 및 세포사멸 조절에서의 역할을 밝히는 등 RNA 결합 단백질의 기능 규명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유전자 조절의 기본적인 이해를 넘어, 항바이러스 제제 개발, 암 치료 및 줄기세포 공학과 같은 응용 분야에 혁신적인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정밀한 RNA 조절 기술을 통해 감염성 질환과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미래 생명공학 및 의학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레트로엘레먼트와 바이러스 면역 반응 연구 |
| 내용 | 안광석 교수의 연구는 '내생성 기생체'로 불리는 레트로엘레먼트가 숙주-바이러스 상호작용 및 선천 면역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L1 레트로트랜스포존이 RNA m6A 변형을 활용하여 진화적 동력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으며, 이는 바이러스 유전체 통합 및 숙주 면역 회피 전략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HIV-1 잠복 감염 통합 부위의 전반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 생물학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바이러스와 레트로엘레먼트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레트로엘레먼트가 숙주 면역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바이러스 감염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탐구합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발하거나 숙주의 방어 기전을 교란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SAMHD1과 같은 숙주 제한 인자가 HIV-1 제한에 필요한 리보뉴클레아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는 등, 숙주의 선천 면역 인자가 바이러스 감염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한 기전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레트로엘레먼트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항바이러스 치료 전략 개발의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반응을 이해함으로써 유전체 안정성 유지 및 면역 조절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초 과학적 지식을 확장하고, 바이러스 면역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여 인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4) 석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학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5)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