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최명환 연구자는 미세유체채널이 내재된 혀 영상 검출 장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장치는 혀를 고정하고 유체이송채널부를 통한 유체의 흐름으로 혀의 활성을 유도한 뒤, 광학검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맛 자극에 대한 미각세포의 활성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합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혀가 맛 정보를 처리할 때 신체의 리듬 또는 병리학적 상황 등에서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진단 기기로의 응용 가능성을 열어주며, 특정 화합물이나 음식에 대한 미각세포의 활성을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함으로써 맞춤형 건강 관리 및 질병 조기 진단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최명환 |
| 직책 | 연구원 |
| 이메일 | choim@snu.ac.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28804420 |
| 연구실 | -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 재직기간 | 2020.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뉴로포토닉스 연구실을 설립 및 운영하며 광학과 뇌 과학 융합 연구 주도. 뇌 엑손 및 신경수초의 나노구조 다이나믹스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찰하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 및 관련 연구 수행. |
| 회사명 | Monell Chemical Senses Center |
| 재직기간 | 2023.01.01 ~ 2024.12.31 |
| 담당업무 | Visiting faculty로서 최신 미각 과학 연구 동향 파악 및 국제 공동 연구 네트워크 구축 기여. |
| 회사명 | Optics Express |
| 재직기간 | 2016.01.01 ~ 2023.12.31 |
| 담당업무 | 학술지 편집위원으로서 광학 분야 최신 연구 동향을 평가하고 학술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품질 논문 출판에 기여. |
| 회사명 |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 재직기간 | 2015.01.01 ~ 2020.12.31 |
| 담당업무 | 조교수/부교수로서 바이오메디컬공학 분야 교육 및 연구 커리큘럼 개발에 참여. 핵심 연구 분야 초기 기반 마련 및 후학 양성. |
| 회사명 | Harvard Medical School |
| 재직기간 | 2011.01.01 ~ 2015.12.31 |
| 담당업무 | Postdoctoral Fellow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에서 광의학 및 뇌 과학 분야의 심화 연구 수행. 첨단 광학 기술을 활용한 생체 이미징 및 조절 기술 역량 강화. |
| 연구 1 | 미세유체채널 기반 혀 영상 검출 및 미각 활성 분석 |
| 내용 | 최명환 연구자는 미세유체채널이 내재된 혀 영상 검출 장치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 장치는 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유체이송 채널부를 통해 특정 유체의 흐름으로 혀의 활성을 유도한 뒤, 광학검출부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맛 자극에 대한 미각세포의 활성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는 독자적인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혀가 맛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리듬 변화 또는 특정 병리학적 상황에 따른 미각세포의 반응 변화를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미각세포의 활성을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함으로써, 특정 화합물이나 음식에 대한 혀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맞춤형 건강 관리, 질병의 조기 진단, 그리고 미각 관련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다양한 진단 기기로 응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미각 기능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고,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른 맞춤형 미각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여 웰니스 및 의료 분야에 중요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연구 2 | 뉴로포토닉스 및 광학-뇌 과학 융합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뉴로포토닉스(Neurophotonics)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광학 기술과 뇌 과학의 융합을 통해 신경과학의 난제들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특히, 빛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여 뇌 신경계의 복잡한 기능을 탐구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핵심 연구 성과로는 뇌 엑손 및 신경수초의 나노구조 다이나믹스를 살아있는 생체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한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신경수초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다양한 뇌 질환의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합니다. 하버드 의과대학에서의 박사 후 연구원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에서 광의학 및 뇌 과학 분야의 심화 연구를 수행하며 첨단 광학 기술을 활용한 생체 이미징 및 조절 기술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본 연구는 뇌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나아가 뇌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광학 기반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빛을 이용한 정밀한 뇌 기능 조절 및 이미징 기술은 미래 뇌 과학 연구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연구 3 | 미각 정보의 뇌 처리 및 섭식 행동 메커니즘 |
| 내용 | 최명환 연구자는 혀에서 뇌까지 미각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맛을 감지하는 것을 넘어, 음식이 신경 코드로 변환되는 과정과 이 정보가 뇌에서 어떻게 해석되어 궁극적으로 섭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 연구는 미각의 수용체 단계부터 중추신경계의 정보 처리 과정, 그리고 최종적인 행동 반응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미각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특히, 빛 기반 도구(광학 현미경, 광유전학 등)를 활용하여 미각 정보 처리 회로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관찰함으로써, 특정 맛 자극이 뇌 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섭식 행동 변화의 신경학적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맛 지각 이상, 섭식 장애, 비만 등 다양한 미각 및 섭식 관련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고 새로운 중재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미각 생리학 및 행동 신경과학 분야의 이해를 심화하고,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Associate Editor, Optics Express (2016 – 2023) |
| 학력 사항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 (2010)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학사 (2006)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