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현택환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장이자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 균일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 및 무기 나노소재 설계 합성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히트업 공정(heat-up process)’을 개발하여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를 대량 생산하는 표준 기술로 확립하며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나노소재 기술은 바이오의료, 에너지, 연성 전자 소자 등 다양한 첨단 산업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택환 교수의 연구는 미래 사회의 기술 발전을 위한 기초 과학적 토대를 마련하며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현택환 |
직책 | 연구단장 |
이메일 | thyeon@s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부서 학과 | 나노입자 연구단 |
사무실 번호 | 8228807150 |
연구실 | 나노입자연구단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nanomat.snu.ac.kr/bbs/board.php?bo_table=sub2_1 |
홈페이지 | https://nanomat.snu.ac.kr/bbs/board.php?bo_table=sub2_1 |
회사명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
재직기간 | 2012.01.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장으로서 나노입자 균일 대량 합성 및 응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승온법'을 개발하여 균일 크기 나노입자 대량 생산의 표준 프로토콜을 확립했으며, 이를 통해 QLED TV용 반도체 나노입자 생산 기술 상용화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균일 자성체 산화철 나노입자 합성 기술을 한화케미컬에 이전하여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질병 진단용 나노입자 조영제, 난치병 치료법, 스마트 의료 기술 개발을, 에너지 분야에서는 연료 전지 촉매 및 이차 전지 전극 물질, 고효율 나노촉매물질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회사명 | National Creative Research Initiative Center |
재직기간 | 2002.01.01 ~ 2010.12.31 |
담당업무 | 산화물 나노결정 재료 국가 창의 연구 사업단장으로서 관련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National Creative Research Initiative Center for Oxide Nanocrystalline Materials |
회사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재직기간 | 1997.01.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나노소재 정밀 합성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승온법' 등 나노입자 생산 기술 개발 및 생체의학, 에너지 분야 응용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
활동 내용 | [학술지 편집 활동] - Associate Editor, ACS Nano (2025-) - Associate Editor,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0-2020) - Editorial Advisory Board, ChemCatalysis (2023-) - Senior Editorial Board, Exploration (2022-) - Editorial Advisory Board, Chemistry–A European Journal (2022-) - Editorial AdvisoryBoard, ACS Central Science (2015-) - Editorial Advisory Board, Nano Today (2009-) - Founding Editorial Advisory Board, Nanoscale (2009-2015) - Editorial Advisory Board, Chemistry of Materials (2009-2011) - Editorial Advisory Board, Chemical Communications (2006-2010) - Editorial Advisory Board, Advanced Materials (2005-) - Founding Editorial Advisory Board, Small (2004-) [주요 수상 및 선정] - International Member,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USA) (2024-) - International Fellow, Royal Swedish Academy of Engineering Sciences (IVA) (2023-) - NAEK Grand Prize,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2022) - Citation Laureates in Chemistry (Clarivate, 2020) - Fellow,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2019-) - SNU Distinguished Professor (2017-) - IUVSTA Prize for Technology (2016) - Presidential Award for Korea’s Best Scientist (2016) - Ho-Am Prize, Samsung Ho-Am Foundation (2012) - Top 100 Chemist of 2000-2011 (37th in Chemistry, 19th in Materials Science, 2011) |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나노소재 정밀 합성 및 응용 (생의학, 에너지, 소프트 전자소자 분야), 균일 나노입자 대량 생산 기술, 나노입자 형성 메커니즘 연구. [대표 연구 내용] 나노입자의 균일한 대량 합성 및 응용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특히 '승온법(heat-up process)' 개발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기술은 균일한 크기의 산화철 나노입자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승온법은 QLED TV용 반도체 나노입자 대량 생산의 원천 기술로 활용되며, 한화케미컬에 기술 이전되어 상용화가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 분야(질병 진단용 나노입자 조영제, 난치병 치료법, 스마트 의료 기술)와 에너지 분야(연료 전지 촉매, 이차 전지 전극 물질, 고효율 나노촉매물질)에서 혁신적인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장 작은 반도체 클러스터 단일 크기 합성, 은 나노선/고무 재료 활용 고성능 나노박막 전극, 구리 단원자 촉매, 부유성 광촉매 플랫폼 등 최신 연구 성과를 통해 미래 기술 사업화를 위한 지속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학력 사항 |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화학 박사 (1996) 서울대학교 화학 학사/석사 (1989)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