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재
권재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권재 박사님은 기초과학연구원 인지및교세포과학그룹에서 성상교세포와 신경세포 간의 상호작용, 수면 및 일주기 리듬, 시냅스 가소성 등 뇌의 핵심 인지 기능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 회로의 신경 조절 및 행동 양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초음파 신경 조절 기술, 부피 조절 음이온 채널 연구, 시상피질 뉴런의 스파이크 빈도 조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뇌의 생체 신호 분석을 위해 전기생리학, 광학 이미징, 뇌파(EEG) 기록 등 첨단 실험 기법을 활용하며, 파이썬 및 매트랩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뇌 데이터를 해석하고 있습니다. 저비용 일주기 리듬 행동 기록 시스템 개발과 같은 성과를 통해 뇌 기능 연구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뇌 인공지능 분야에 기여하고 뇌 질환의 이해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권재 |
| 직책 | POST-DOC |
| 이메일 | jeakwon@ibs.re.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789157 |
| 연구실 | 인지및교세포과학연구그룹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glia |
| 홈페이지 | https://github.com/jeakwon/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경력정보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 (IBS) |
| 재직기간 | 2018.12.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원으로서 뇌 과학 및 인공지능 융합 연구 수행. [주요 성과] - 뇌 모방 인공지능 기술인 'Lp-convolution' 개발에 참여,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능력 향상에 기여. - AI 기반 동물 행동 분석 도구 'SUBTLE' 개발 참여, 다양한 물체 및 휴머노이드 로봇 움직임 분석으로의 확장 잠재력 확보. - 인공지능 모델 작동 방식과 뇌 해마 계산 과정 유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 토대 마련. - NeurIPS 및 Nature Communications 등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에 연구 결과 게재. |
| 회사명 | 대한민국 국방부 |
| 재직기간 | 2017.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병역 의무 이행 중 기술 연구 인력으로 복무. |
| 회사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
| 재직기간 | 2014.03.01 ~ 2018.11.30 |
| 담당업무 | Center for Functional Connectomics 연구원으로서 뇌 기능 커넥토믹스 연구 수행. |
중요 키워드
#인지 기능#뉴럴 네트워크#생체 신호 분석#Python 프로그래밍#기계 학습#인공지능#뇌-AI 융합#신경과학#일주기 리듬#행동 분석 AI#뇌과학#성상교세포#시냅스 가소성#NeurIPS#이미지 인식
연구 분야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학술 활동] -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NeurIPS) 연구 결과 채택 및 발표 (ICLR 2025 발표 예정 포함) - Nature Communications 등 국제 학술지에 논문 게재 [공동 연구 및 국제 협력] -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 참여 - 독일 막스플랑크 보안 및 정보보호 연구소에서 IBS 박사후연구원으로 활동 (국제 공동 연구) |
학력
| 학력 사항 | 박사 과정 고려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재학 중) 공학 학사 사이타마 대학교 전기전자 시스템 (2012) |
보유 기술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