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본 발명은 질소 비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와 낮은 작물 생산성 문제를 해결합니다. OsAMT1;2 및 OsGOGAT1 유전자의 이중 활성화 태깅 돌연변이를 통해 질소 이용 효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형질전환 벼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식물의 모든 생육 단계에서 질소 흡수, 동화, 재이동 능력을 향상시켜, 성장률, 바이오매스, 낟알 수율을 최대 40% 이상 증대시킵니다. 질소 제한 조건에서도 작물 수확량을 유지하면서 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낟알의 질소, 단백질, 아미노산 함량을 높여 작물 품질까지 개선합니다. 농업 및 식품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본 기술에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 기술 분야 | 식물 유전공학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OsAMT1;2 및 OsGOGAT1 유전자의 이중 활성화 태깅 돌연변이가 유도된 질소 이용 효율 및 생산성이 개선된 식물 | |
| 기관명 | |
| 기초과학연구원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남홍길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200020326 | 1024347530000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20.02.19 |
| 중요 키워드 | |
활성화 태깅 기술작물 생산성 향상질소 이용 효율환경 친화 농업OsAMT1;2 유전자형질전환 벼지속가능 농업고품질 벼 개발유전공학 식물질소 흡수 능력비료 절감 농업식량 안보 기여바이오매스 증대OsGOGAT1 유전자스마트 농업 혁신유전공학바이오산업첨단 바이오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