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SnSe 등 MQ계 열전소재는 주로 p-type 반도체 특성을 보여 n-type 구현에 어려움이 있어 열전모듈의 실용화 및 안정성 보증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칼코겐화합물의 조성 설계 변경을 통해 양이온 공공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n-type 반도체 특성을 구현합니다. Ge, Sn, P, As, Sb, Bi, S, Se, Te, F, Cl, Br, I 등 특정 원소의 치환 및 셀프-도핑 방식을 활용하여 SnSe 기반 소재의 전자밀도를 증대시키고 n-type으로 변환합니다. 이로써 넓은 작동 온도 범위(300K~800K)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 태양전지, IR/UV 디텍터, 센서, 자동차, 공장, 항공기, 선박 등 폐열이 발생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기술 분야 | 칼코겐화합물 열전 반도체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칼코겐화합물 열전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 |
| 기관명 | |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정인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150141097 | 1017608340000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15.10.07 |
| 중요 키워드 | |
폐열 회수도핑 기술n형 반도체SnSe반도체 기술조성 설계제벡 효과신재생 에너지열전 발전에너지 변환웨어러블 기기열전소재칼코겐화합물열전소자펠티어 효과전자부품반도체제조반도체소자센서기술무기화학신재생에너지자동차가전제품반도체/디스플레이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