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진수

김진수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 교정 연구단)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김진수 단장은 인간 및 동식물 유전체교정을 위한 유전자가위 효소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가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며, 인간 줄기세포 및 체세포의 유전자교정을 통해 난치성 질환을 원천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동식물 개발 및 유전자 기능 규명, 질환 관련 유전자 발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전체에 담긴 생명의 비밀을 탐구하고,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며, 면역거부반응 없는 세포 및 장기이식 적합 동물을 개발하는 등 21세기 생명과학, 생명공학, 분자의학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최신 염기교정 및 프라임 에디팅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유전체교정 방법을 개척하며, 질병 치료와 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진수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진수
직책연구단장
이메일jskim01@snu.ac.kr
재직 상태퇴직
부서 학과유전체 교정 연구단
사무실 번호-
연구실유전체교정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ibs.re.kr/cge/
홈페이지https://www.ibs.re.kr/kor/sub05_02_04.do?partCode=01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기초과학연구원(IBS)
재직기간-
담당업무유전체 교정 연구단 단장

중요 키워드

#CRISPR#분자의학#유전질환치료#유전자가위#줄기세포#신약개발#생명공학#장기이식#고부가가치작물#TALEN#Cpf1#Cas9#유전자편집#바이오산업#유전체교정

연구 분야

연구 1유전자가위 효소 개발 및 정밀 유전체 교정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인간 및 동식물 유전체 교정을 위한 혁신적인 유전자가위 효소 개발과 정밀 유전체 교정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염기서열을 정교하게 고쳐 쓸 수 있는 유전자가위 기법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아연 손가락 뉴클레아제(ZFNs), 탈 효과기 뉴클레아제(TALENs), RNA 유도형 엔지니어제(RGENs), CRISPR-Cas9, Cpf1 등 다양한 차세대 유전자가위 시스템을 개척해왔습니다. 특히, 유전자가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연구를 통해 유전체 편집 기술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신 염기 교정(Base Editing) 및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 기술을 개발하여 특정 염기 변이를 더욱 정밀하게 교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천 기술 개발은 21세기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다양한 생명 현상 탐구 및 질병 치료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단은 이 실험기법의 최초 개발자로서 기술 발전과 적용 범위 확대를 통해 생명과학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구 2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인간 유전체 교정
내용본 연구실은 인간 줄기세포 및 체세포의 유전체 교정을 통해 난치성 질환을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교정하며, 이를 통해 유전적 결함을 수정하고 질병 진행을 막는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천적 유전질환인 비후성 심근증과 같은 질병의 유전자 변이를 인간 배아에서 성공적으로 교정하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으며, 혈우병 치료를 위한 혈액 응고인자 VIII 유전자를 타겟하는 엔도뉴클레아제 개발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고 질환 관련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써 질병의 발생 메커니즘 이해를 심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면역거부 반응이 없는 세포 및 장기 이식에 적합한 세포를 구축하는 데에도 응용될 수 있어, 미래 의학의 중요한 축인 정밀의료 및 재생의료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연구 3농축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전체공학 응용
내용본 연구실은 유전체공학 기술을 고부가가치 동식물 개발에 적용하여 농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인류 복지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전자가위 기법을 활용하여 가축 및 농작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최적화함으로써 생산성 증대, 품질 향상, 질병 저항성 강화 등 원하는 특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물세포 소기관 DNA의 염기 교정을 통해 광합성 효율을 높이거나, 특정 영양 성분을 강화하는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배아의 유전체 교정을 통해 특정 질병에 강하거나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는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식량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하며,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단은 동식물 유전체 조작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21세기 생명공학과 농생명 과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합니다.

학력

학력 사항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박사 (1994) 서울대학교 이학석사 (1989) 서울대학교 이학사 (1987)

보유 기술 로딩 중...

김진수 | 기초과학연구원 기술사업화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