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김진수 단장은 인간 및 동식물 유전체교정을 위한 유전자가위 효소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가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며, 인간 줄기세포 및 체세포의 유전자교정을 통해 난치성 질환을 원천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동식물 개발 및 유전자 기능 규명, 질환 관련 유전자 발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전체에 담긴 생명의 비밀을 탐구하고,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며, 면역거부반응 없는 세포 및 장기이식 적합 동물을 개발하는 등 21세기 생명과학, 생명공학, 분자의학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최신 염기교정 및 프라임 에디팅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유전체교정 방법을 개척하며, 질병 치료와 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진수 |
직책 | 연구단장 |
이메일 | jskim01@snu.ac.kr |
재직 상태 | 퇴직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부서 학과 | 유전체 교정 연구단 |
사무실 번호 | - |
연구실 | 유전체교정연구단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cge/ |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kor/sub05_02_04.do?partCode=01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유전체 교정 연구단 단장 |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유전체 교정, 유전자가위 기술 세부 분야: 인간세포 및 동식물의 유전체 정밀 교정, 줄기세포/체세포 돌연변이 교정, 유전자 기능 규명, 유전 질환 치료 응용, 고부가가치 생물 개발 [대표 연구 내용] 김진수 단장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전체 교정 연구를 통해 난치성 유전 질환의 원천치료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인간 줄기세포 및 체세포에 적용 가능한 정밀 유전자 교정 기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동식물에 응용하여 고부가가치 생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세포 소기관 DNA의 염기를 아데닌에서 구아닌, 시토신에서 티민으로 정밀하게 교정하는 기술의 발명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생명공학 및 분자의학 분야에서 큰 파급력을 가진 기술로 평가됩니다. |
학력 사항 |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박사 (1994) 서울대학교 이학석사 (1989) 서울대학교 이학사 (1987)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