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 전도도 및 기계적 특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층 이상의 계층적 미세구조를 형성한 고분자 전해질 막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계층적 구조물과 가열압착 방식을 사용하여 막의 유효 표면적을 크게 늘리고 평균 두께를 줄여 이온 이동 저항을 감소시킵니다. 이를 통해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고, 막 두께 감소에 따른 기계적 특성 저하 문제까지 해결합니다. 연료전지 적용 시 촉매층과 전해질 막 간의 접촉 저항을 줄여 소량의 촉매로도 연료전지 성능을 40% 이상 높이며, 이온 이동 저항을 15% 이상 감소시킵니다. 이 기술은 연료전지를 포함한 다양한 에너지 전지 소자의 성능과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분야 | 연료전지 막 기술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고분자 전해질 막 및 그 제조방법 | |
| 기관명 | |
| 재단법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성영은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150009478 | 1017428610000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15.01.20 |
| 중요 키워드 | |
계층적 미세구조전력 밀도친환경 에너지막전극접합체촉매층 코팅기계적 특성 개선박막 기술연료전지PEMFC전해질 막 제조이온 전도도유효 표면적수소 연료전지고분자 전해질 막에너지 소자고분자신재생에너지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