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호
왼쪽 화살표 버튼 IBS Now 오른쪽 화살표 버튼
facebook blog kakaotalk

IBS Now

5월 연구원 동정

1. IBS-중이온가속기, 2021년 완공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핵심 실험 시설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와 IBS의 최종 건립계획안이 확정됐다. 두 시설은 당초 예정인 2017년 보다 4년 늦어진 2021년 완공될 예정이며, 1조6662억 원이 투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9일 '제6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건립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는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 98만㎡ 부지에 들어선다. 중이온가속기는 세계 최고 수준의 희귀동위원소빔(200Mev, 400kw)을 만들어 내며 핵물리, 물성과학, 의생명 등 기초 연구에 활용될 계획이다.

미래부는 2019년까지 저에너지 가속기 관련 시설을 1차로 건립하고 2021년까지 고에너지 가속기 관련시설을 건립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번 건립안에 중이온가속기 장치 구축 예산인 4602억 원이 포함되지 않아 향후 예산 확보 방안을 놓고 기획재정부와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BS 본원 건립은 2017년까지 연구동, 게스트하우스 등 꼭 필요한 시설을 1차로 완공하고, 2021년까지 잔여 연구동과 행정시설 등 부속시설을 완공할 예정이다. 대전 도룡지구 엑스포 과학공원내 26만㎡ 부지를 활용한다. 건축 면적은 11만3000㎡ 규모다. 본원 건물은 완공 이후에 보안이 필요한 연구 공간 등을 제외하면 관련 연구기관 연구자, 학생, 지역주민 등에게 개방해 활용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2. IBS 신임원장 초빙 공고

IBS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이끌 비전과 리더십을 갖춘 새로운 제2대 원장을 공모한다. 새로운 IBS의 원장의 임기는 임명일로부터 5년이며 개인이 직접 응모하거나 단체 및 기관의 추천으로 응모도 가능하다.

IBS는 공고문을 국내를 비롯한 네이처(Nature), 사이언스(Science), 더 크로니클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등 해외 주요저널 및 언론에도 공개해 세계무대 속에 활약하고 있는 기초과학 리더를 찾아 나선다.

이번 원장 공모의 지원 자격은 ▲연구원을 세계적 연구소로 이끌 비전과 전략을 가진 자 ▲기초과학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정책적 식견이 풍부한 자 ▲기관운영에 대한 경륜과 사회적 덕망을 가진 자 ▲기관의 경영혁신 능력과 리더십을 갖춘 자 등이다.

원장 응모서류 제출기한은 오는 7월 4일 18시까지이며 심사와 관련된 제반 기준 및 절차, 임명, 계약 등에 관한 사항은 후보자의 국적이 외국인인 경우에도 국내법 및 연구원 내부 규정 등을 따른다.

자세한 내용은 IBS 홈페이지(www.ibs.re.kr/president)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부 연구단장 공고

IBS 연구단은 연구 잠재력이 큰 중견급 연구자 부연구단장을 모집한다. 모집분야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 분야 10개 연구단별 수요 분야를 중심으로 모집하며 오는 6월 3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평가 및 선정은 7월에서 11월까지 진행되면 본격 연구를 착수하는 기간은 올 12월부터다.

IBS 부연구단장은 연구 잠재력이 큰 중견급 연구자로서, 연구단 내 자신의 연구그룹을 독립된 연구비로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된다. 부연구단장의 기본 자격 요건은 창의과제 수행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가진 중견급 연구자 또는 부연구단장으로서 연구수행을 통해 연구단장급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우수 연구자이다.

자세한 내용은 IBS 홈페이지(www.ibs.re.kr/adapply)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차세대 기초연구리더(YS/SS) 공모

IBS에서는 기초과학분야의 차세대 연구 리더 육성 및 IBS의 연구원으로 채용 연계 등을 위해 IBS 차세대 기초연구리더를 공모한다.

모집분야는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등 연구단이 수행 중인 연구분야 중심이다. 자격조건은 박사학위 취득 후 5년을 초과하지 않은 연구자로 현재 재직자는 연구수행 동안 휴직을 원칙으로 한다. 관련 접수 마감은 오는 6월 30일까지며 연구 착수일은 10월 1일부터다.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IBS 홈페이지(http://www.ibs.re.kr/kor/sub05_04_01.do)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042-878-8108로 하면 된다.

5. IBS 직원 채용 공고

IBS를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인재를 다음과 같이 모집한다. 모집 분야는 각 연구단의 연구행정을 맡는 행정직과 리눅스 구축 및 원영, 실험실 구축 및 연구장비 관리 등의 기술직이다. 근무지는 연구단에 따라 서울, 대전, 광주, 울산 포항 등이며 IBS 홈페이지(www.ibs.re.kr) 채용관리시스템에서 입원지원서를 On-Line상으로 작성・제출하면 된다.

공고기간 및 입원지원서 접수는 오는 6월 18일 18시까지이며 관련 문의는 인재경영팀 채용당담자(042-878-8212, recruit@ibs.re.kr)나 IBS 홈페이지 채용공고란(www.ibs.re.kr/prog/recruit/kor/sub05_02/list.do)를 참고하면 된다.

6. 김빛내리 IBS RNA 연구단장 미 국립학술원 외국인 회원에 선출

김빛내리 연구단장

▲ 김빛내리 연구단장

RNA 연구단의 김빛내리 단장이 4월 29일 개최된 미국 국립학술원(NA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총회(4.29)에서 신희섭 단장(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이호왕 교수(고려대), 임지순 교수(서울대)에 이어 회원에 선출됐다.

NAS는 세계 최고의 권위와 영예를 자랑하는 학술단체로 아인슈타인을 비롯하여 DNA 구조를 발견한 왓슨과 크릭 등 많은 노벨상 수상자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김빛내리 단장은 이번 회원 선출에서 '마이크로RNA의 생성과정과 생물학적 기능' 연구 분야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다수의 해외 저명 과학자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NAS의 내국인 회원은 총 2,214명, 외국인 회원은 444명이다.

7. 프랑스 CNRS 브리짓 펠루카 홍보부장 내방

지난 5월 13일 오전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NRS)의 브리짓 펠루카(Brigitte Perruca)홍보부장이 가이 포레(Guy Faure) 아시아지역사무소장, 주한프랑스대사관 천형환 행정원과 함께 IBS를 찾았다.

이번 방문에서 CRNS는 ▲ 두뇌유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IBS의 전략 ▲ 캠퍼스 연구단과 외부 연구단 간의 주요 차이점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IBS와의 관계 ▲ 외국인 연구단장 현황 및 출신 기관 ▲ 대학 캠퍼스에 소재한 연구단의 인력 운영 현황 ▲ 중이온가속기 구축 장소 및 추진일정 등 다양한 궁금증을 풀어놨다.

8. 2014-5차 '상상력 포럼 D' 개최

IBS(기초과학연구원)와 대덕넷은 오는 28일 오후 3시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슬픔에서 창조성을 만나다'를 주제로 상상력포럼 D를 진행했다. 이번 강연의 연사로는 다양한 사회현상과 역사적 사건·인물을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적으로 접근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정신과 전문의 이나미 교수가 나서 고통과 슬픔이 어떻게 인간의 창조성을 키웠는지 설명했다.

5차 행사 영상은 IBS 뉴스레터 7월호에서 볼 수 있으며, 상상력포럼 D 참가신청은 온라인 페이지(http://advertise.hellodd.com/2014/0528_dforum)나 포럼 사무국(070-4171-3509)을 통해 할 수 있다.

한편 6차 상상력포럼 D는 6월 18일 수요일 오후 3시부터 엑스포과학공원 과학문화체험관에서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와 함께 다양한 역사이야기를 듣는 시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9. MOU 체결 완료(CERN)

IBS는 지난 5월 12일 스위스에 있는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과 MOU를 체결했다.
이번 체결을 통해 IBS는 온라인 동위원소 분리(ISOL) 분야 협력, 단기 인력 훈련 및 전문가 자문, 시작품 테스트 및 공동연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