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박제근 부연구단장은 강상관계물질연구단에서 새로운 강상관계물질의 합성 및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물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강상관계에 의해 나타나는 발현현상과 바닥상태를 규명하고 신물질을 합성하며, 이를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패러다임 정립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인공적인 산화물 계면에서 전하이동, 궤도 및 전자 재구성, 변형률 변화, 스핀궤도결합 등 다양한 매개변수를 제어하여 새로운 전자상을 발견하는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이론-합성-측정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난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화물 계면의 독특한 물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전자구조물과 그린에너지 기술 발명에 기여할 실용적 적용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자기메모리, 저온 초정밀 열수송 측정 프로브,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재료, 터널링 접합 소자 등 다양한 첨단 기술 개발을 통해 응집물질물리 연구를 선도하며 미래 전자장치 및 에너지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제근 |
| 직책 | 부연구단장 |
| 이메일 | jgpark10@snu.ac.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강상관계 물질 기능성 계면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 |
| 연구실 | 강상관계물질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
| 재직기간 | 2010.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물리천문학부 교수 |
| 회사명 | 영국물리학회지 |
| 재직기간 | 201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영국물리학회지 편집위원 및 섹션 편집장 활동 |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물질 연구단 |
| 재직기간 | 2012.01.01 ~ 2020.12.31 |
| 담당업무 | 강상관계물질 연구단 부단장으로서 연구단 운영 및 강상관계물질 연구 총괄 |
| 회사명 |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
| 재직기간 | 2001.01.01 ~ 2010.12.31 |
| 담당업무 | 물리학과 부교수 및 정교수, 석좌교수 (SKKU Fellow)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
| 재직기간 | 1996.01.01 ~ 2001.12.31 |
| 담당업무 | 물리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 |
| 회사명 | 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
| 재직기간 | 1994.01.01 ~ 1996.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교수 |
| 회사명 | CNRS, France |
| 재직기간 | 1993.01.01 ~ 1994.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 연구 1 | 강상관계 물질 및 응집물질물리 패러다임 정립 |
| 내용 | 본 연구실은 새로운 강상관계 물질의 합성 및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물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강상관계 물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발현 현상과 독특한 바닥 상태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이를 기반으로 전에 없던 강상관계 신물질을 성공적으로 합성해내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강상관계 물성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이론적 틀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는 이론-합성-측정의 유기적인 통합 접근 방식을 통해 물질의 근원적인 물리적 난제를 해결하고, 응집물질물리 분야의 이해를 심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기초 과학적 발견을 통해 얻어지는 깊이 있는 이해는 새로운 물질 현상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는 미래 첨단 전자 재료 및 소자 개발에 필요한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
| 연구 2 | 인공 산화물 계면 제어 및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적인 산화물 계면에서 새로운 전자상을 발견하는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전하이동, 궤도 및 전자 재구성, 변형률 변화, 차원 통제 등 다양한 매개변수뿐만 아니라, 스핀궤도 결합, 변형률 구배, 불량 통제와 같은 정교한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산화물 계면의 독특한 물리 현상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기존 물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성을 지닌 전자상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전자 소자 기술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기 메모리 장치,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등 첨단 저장 소자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산화물 계면 연구를 통해 얻어진 통찰은 새로운 전자 구조물 및 그린 에너지 기술 디자인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저희 연구는 미래 전자 장치의 발명을 위한 핵심적인 발판을 제공하며, 에너지 효율적이고 고성능의 차세대 소자 기술 구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저차원 양자 소재 및 극한 물성 측정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층상구조의 전이금속 황화인(TMPS3), CrPS4, Fe3GeTe2, MPSx 등 다양한 저차원 양자 소재 및 반데르발스 물질 기반의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독특한 양자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전자 소자 구현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층상구조의 전이금속 황화인을 이용한 터널링 접합 소자, CrPS4 물질을 활용한 저항변화 메모리, nm 두께의 강자성 반데르발스 Fe3GeTe2 물질 기반 자기 메모리, MPSx 물질 기반의 광전소자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개발을 통해 차세대 소자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저온 초정밀 열수송 측정용 프로브 시스템과 같은 첨단 측정 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극저온 환경에서 물질의 열수송 특성 및 다른 극한 물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양자 소재의 물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나아가 고성능 전자 소자 및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 개발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기술 발전에 기여합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영국물리학회 석학회원 (2008년 임명) - 영국물리학회지 편집위원 (2014년 임명) - 한국자기학회 활동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17년) [연구단 활동] - 서울대학교 양자물질연구단 단장 |
| 학력 사항 |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 박사 (1993)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석사 (1990)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88)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