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광통신 기술의 높은 비용, 저온 동작 한계 및 광회절 제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파장 다중화 장치 기술입니다. 본 기술은 금속 나노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s)과 엑시톤을 여기할 수 있는 2차원 반도체 물질층을 결합하여, 두 요소의 커플링을 통해 다양한 파장의 광을 효과적으로 다중화합니다. 특히, 2차원 물질층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엑시톤의 발생량을 조절하여 파장 다중화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통신 부품의 초소형화와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지며, 재구성이 가능한 차세대 광통신 시스템 설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분야 | 나노포토닉스 광소자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파장 다중화 장치 | |
| 기관명 | |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이영희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160029780 | 1018352020000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16.03.11 |
| 중요 키워드 | |
고속 데이터 전송광전자공학밴드갭 조절반도체 물질다중 파장 생성파장 다중화엑시톤나노포토닉스금속 나노구조물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2차원 물질광학 다중화엑시톤 커플링광통신초소형 광소자전자부품통신네트워크통신장비반도체제조반도체소자광학기기나노구조나노응용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