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신축성 전도체는 늘어날 때 전기 저항이 급격히 변하는 문제로 유연 소자,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이 어려웠습니다. 본 기술은 신축성 기판을 신장시킨 후 탄소나노튜브 시트와 같은 전도성 층을 증착하고 수축시켜, 물결 형태의 주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저항 변화를 최소화합니다. 특히 전도성 층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거나 액상 탄성체로 캡핑하여 600% 이상의 길이 변화에도 전기 저항 변화를 1% 미만으로 유지합니다. 이 초고신축성 전도체는 32,000회 이상의 반복적인 인장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며, 유연 전자 소자,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체 부착형 의료 기기, 고주파 신호 전송용 도선 등 넓은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분야 | 초고신축성 전도체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전기 저항 변화가 최소화된 신장성 전기 전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 기관명 | |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이영희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150135120 | -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15.09.24 |
| 중요 키워드 | |
실리콘 고무웨어러블 재활기기탄소나노튜브유연 전자소자저항변화 최소화전기전도성 소재플렉서블 디스플레이신축성 기판 제조인몰드 일렉트로닉스절연막 기술웨어러블 전도체고신축성 전선의료용 전도체초고신축성 전도체전자 피부 센서전자부품회로제조전자회로센서기술의료기기고분자나노구조디스플레이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