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세포의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 발견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세포의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 발견
보도일 2016-08-23 04:00 조회 6532
연구단명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IBS_보도자료] 세포의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발견_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PNAS).hwp [IBS_보도자료] 세포의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발견_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PNAS).hwp
첨부 zip 파일명 : 그림 및 사진설명.zip 그림 및 사진설명.zip
mp4 파일명 : 세포의 이동과 PLEKHG3의 분포.mp4 세포의 이동과 PLEKHG3의 분포.mp4
mp4 파일명 : 광유전학 기술로 세포 이동방향 제어.mp4 광유전학 기술로 세포 이동방향 제어.mp4

세포의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 발견

- 광유전학 기술로 세포 움직임 제어… 암․면역 세포 연구에 활용 기대 -

우리 몸의 세포는 가만히 멈춰있는 것이 아니라 이동한다. 세포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배아 발달, 상처 치유, 면역 반응 등에 필수적이다. 우리 몸 여러 기관에 암이 전이되는 현상도 암 세포의 이동 때문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세포의 이동은 다양한 생리 및 병리적 조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 이동에는 여러 종류의 소형 GTP 결합 단백질1)과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GEF 단백질2)들이 관여한다. 세포는 진행 방향 부위의 소형 GTP 결합 단백질(Rac1, Cdc42)이 활성화되면서, 동력을 내는 액틴 섬유3)를 중합(polymerization)해 지느러미 같은 돌출부를 만들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세포 이동을 관장하는 여러 종류의 GEF 단백질을 세포에 발현시켜도 세포의 이동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고, 세포 이동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를 밝히지 못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허원도 그룹리더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GEF 단백질 중 하나인 'PLEKHG3' 단백질이 세포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타'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또한, 독자적으로 개발한 광유전학4)기술(광유도 분자 올가미, LARIAT)을 접목, 빛으로 '방향타 단백질(PLEKHG3)' 의 활성을 조절해 세포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바이오이미징 기술5)로 세포 내 63개 GEF 단백질들의 분포양상을 분석해, 세포가 이동하는 동안 세포이동을 조절할 가능성이 높은 GEF 단백질들을 선별했다. 그 중, PLEKHG3가 세포의 진행 방향 부위로 빠르게 이동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방향타 역할을 하는 이 단백질은 해당 부위에서 소형 GTP 결합 단백질을 활성화해 세포 골격을 이루는 액틴 섬유를 형성한다. 액틴 섬유는 그물망을 이루며 지느러미 같은 돌출부를 형성해 세포를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 과정에서 방향타 단백질은 액틴 섬유 자체와도 매우 강하게 결합하는데, 이 결합이 소형 GTP결합 단백질의 활성을 더욱 촉진시킴으로써 세포의 이동 속도를 더 빠르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연구진은 광유전학 기술로 방향타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해 세포가 움직이는 방향을 인위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청색광 수용체를 이용해 만든 융합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에 청색광을 비추면, 융합단백질이 PLEKHG3를 올가미처럼 붙잡아 PLEKHG3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원리를 활용했다. 이에 따라 빛을 비추면 세포는 이동을 멈추고, 빛을 끄면 PLEKHG3의 활성이 다시 정상화돼, 세포는 움직인다. 빛을 비추는 부위를 조정해서, 세포의 이동방향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방향타 단백질인 PLEKHG3가 세포를 움직이게 하는 핵심 단백질임을 밝히고, 광유전학 기술로 빛을 통해 세포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어한 데 의의가 있다. 허원도 그룹리더는 “세포 이동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 암세포 전이 및 면역 세포 이동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IF 9.809) 온라인판에 미국 동부시간으로 8월 22일자(한국 시간 기준 8월 23일 새벽 4시)에 게재됐다.


▲ 세포내 PLEKHG3의 위치분석


▲ 세포이동시 PLEKHG3의 세포내 위치추적


▲ PLEKHG3에 의한 새로운 세포이동 메커니즘.


▲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PLEKHG3 활성 실험(LARIAT for PLEKHG3)

1) 소형 GTP 결합 단백질(small GTP binding protein) : 다양한 세포의 기능 조절에 있어 세포신호전달과정의 신호를 켜고 끄는 스위치단백질로서, 인간세포에 약 18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TP(구아노신삼인산 Guanosine TriPhosphate)와 결합하여 세포신호전달과정을 활성화하는 GTP결합단백질 중, 단백질의 크기가 작은 단백질이다.

2) GEF(Guanine-nucleotide exchange factor) 단백질 : 인간세포에 100여 종이 존재하는 단백질로, 소형 GTP결합 단백질의 GTP결합을 촉진하여 활성화시킨다. 인간의 질병과 밀접하게 연관된 단백질이다.

3) 액틴 섬유(Actin filament) : 근육의 가는 필라멘트를 이루는 주요 구조 단백질인 액틴으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사슬로, 세포의 골격을 유지하고, 세포의 이동에 관여한다. 액틴은 근육 수축뿐만 아니라 세포 분열시 형성되는 수축환을 비롯해 각종 세포의 이동과 움직임에 필수적이다. 또한, 세포골격내의 마이크로필라멘트나 버팀섬유(stress fiber) 등의 구성요소로서 세포 형태의 형성, 유지에도 관여한다.

4) 광유전학(Optogenetics) : 빛으로 세포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는 최신 연구 분야이다. 유전자 조작이 수반되나 약물투여나 외과적 시술에 비해 비(非)침습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주목받는다. 본 연구진이 2014년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광유도 분자 올가미 기술(LARIAT: Light-Activated Reversible Inhibition by Assembled Trap)은 빛으로 세포 내에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광유전학 기술로, 단백질복합체 안에 특정 단백질을 가두어 해당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LARIAT는 빛을 켜고 끔에 따라 가역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원하는 시간, 위치에서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5) 바이오이미징(Bio-imaging) : 세포, 세포내 분자, 동물의 생체 조직 등을 다양한 현미경과 형광기술로서 시각화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Scicasts] Scientists Discover Function of a Key Protein Involved in Cells' Movement
  • [EurekAlert!] Cells' steering wheel
  • [Phys.org] New mechanism clarifies how cells migrate
  • [e! Science News] New mechanism clarifies how cells migrate
  • [bioportfolio] New mechanism clarifies how cells migrate
  • [NewsLocker] New mechanism clarifies how cells migrate
  • [조선비즈] 암세포 전이 과정 규명 실마리 찾았다...세포 이동 관여 단백질 첫 발견
  • [경향신문] 세포 이동 방향 결정하는 ‘방향타 단백질’ 발견
  • [디지털타임스] 세포 이동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첫 발견
  • [일간스포츠] IBS, 세포 이동 원리 밝혀...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발견
  • [전자신문] IBS 연구진, 세포 이동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발견...암 전이 연구
  • [충청투데이] 기초과학硏 세포 이동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발견
  • [매일경제] 국내 연구진 ‘방향타 단백질’로 세포 움직임 제어
  • [대전일보] 세포 이동 방향 결정' 단백질 발견
  • [머니투데이] 방향타 단백질' 발견...암·면역 세포 연구 활용기대
  • [이데일리] 국내연구진, 세포 이동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찾았다..암 전이 연구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