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단장 강봉균
강봉균 단장은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 서울대 교수로 임용된 이후 현재까지 학습 및 기억 메커니즘 연구에 천착해 온 대한민국 국가 과학자로서 뇌과학 분야 세계적 석학이다. 사이언스(Science), 네이처(Nature), 셀(Cell) 등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에 2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억의 저장을 중재하는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자적 수준에서 정밀하게 밝히고 이 연구 분야를 특성화하여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권위와 기여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12), 서울대학교 석좌교수(’21)에 선정됐으며 경암학술상(‘12), 대한민국학술원상(‘16),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대상(’18), 삼성호암상(‘21), 기초연구진흥 유공자 포상(’22) 등을 받았다. 또한 2008년부터 뇌 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몰레큘러 브레인(Molecular Brain)’의 편집장, 2022년부터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학술프로그램 분과장을 역임하는 등 뇌과학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로 활약하고 있다.
인지 기능의 신경과학적 원리를 밝히고자 학습과 기억의 과정 동안 뇌의 작용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
시냅스 가소성 연구 그룹: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분자적 기전 연구 및 분석/ 공포 기억, 운동학습, 보상학습 등 특정 기억에 따른 시냅스 변화 가시화
신경 회로의 활성과 인지 기능 그룹: 마우스 인지기능 모델과 광유전학을 융합한 시냅스 기반의 행동실험 기법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