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코 속 혈관과 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 최초 완성

IBS 연구팀, 면역 반응에 특수화된 비강 내 혈관과 림프관 구조 규명코 속 혈관과 림프관의 3차원 정밀지도 최초 완성IBS 연구팀, 면역 반응에 특수화된 비강 내 혈관과 림프관 구조 규명Read More

차세대 태양전지, 효율 더 높일 방법 찾았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결정하는 ‘엑시톤’ 수명 10배 늘려차세대 태양전지, 효율 더 높일 방법 찾았다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결정하는 ‘엑시톤’ 수명 10배 늘려Read More

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

IBS News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IBS-서울대, 유전자 조절하는 마이크로RNA 생성의 비밀 잇따라 밝혀 네이처에 논문 2편 동시 발표Read More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IBS News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메카노제네틱스 기술로 조직발달 및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 과정 밝혀Read More

미시세계에서만 보이던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

IBS News미시세계에서만 보이던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눈에 보이는 물질에서 준입자 관찰...미시-거시 넘나드는 앤트맨의 세계관 실현될까?Read More

Prev Next Pause Start

Featured

date2023-02-21가장 정밀한 ‘액시온’ 탐색 실험, 화려한 데뷔
가장 정밀한 ‘액시온’ 탐색 실험, 화려한 데뷔
date2023-01-11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메카노제네틱스 기술로 조직발달 및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 과정 밝혀
date2022-10-24형광물질로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 세포 찾아낸다
형광물질로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 세포 찾아낸다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선천면역세포만 찾는 형광물질 개발
date2022-09-15추운 날씨에 성능 저하되는 배터리, 해결 실마리 찾았다
추운 날씨에 성능 저하되는 배터리, 해결 실마리 찾았다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저온에서도 성능 저하 없는 배터리 설계 단서 제시
date2022-09-02주사 바늘보다 얇은 초미세 3D 내시경 개발
주사 바늘보다 얇은 초미세 3D 내시경 개발
폐, 모세혈관, 뇌 신경계까지 관찰 가능…질병 조기 진단의 길 열어
date2022-08-30쥐 두개골 제거없이 신경망 투시하는 홀로그램 현미경 개발
쥐 두개골 제거없이 신경망 투시하는 홀로그램 현미경 개발
다양한 의․생명 융합 연구, 정밀 측정이 필요한 산업분야 응용 기대
date2022-08-03IBS, 성장 조절하는 인슐린유사성장인자의 비밀을 밝히다
IBS, 성장 조절하는 인슐린유사성장인자의 비밀을 밝히다
복합체 조립과정 및 인슐린유사성장인자 활성화 메커니즘 제시
date2022-07-26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밝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밝히다
27개 원자로 구성된 가장 작은 반도체 나노클러스터 결정 구조 규명
date2022-07-20면역세포 B세포에만 반짝이며 빛을 내는 형광분자 개발
면역세포 B세포에만 반짝이며 빛을 내는 형광분자 개발
B세포 내 수송체 단백질로 선택적 식별, 살아있는 상태로 발달의 정도 관찰 가능
date2022-06-23뇌 속 반응성 별세포의‘요소회로’, 치매의 새 원인
뇌 속 반응성 별세포의‘요소회로’, 치매의 새 원인
요소회로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치매 치료제 개발 기대
date2022-06-13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수문장(Gatekeeper) 단백질 발견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수문장(Gatekeeper) 단백질 발견
혈관 첨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조절인자 기작 규명... 암·혈관질환 치료에 활용 기대
date2022-05-18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 - 암·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
date2022-05-03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소리로 다단계 효소반응 조절 - - 생체 시스템 모방 연구, 신물질 합성 등 다양한 응용 기대 -
date2022-04-27‘합-주파수 생성 분광법’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
‘합-주파수 생성 분광법’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
그래핀 계면 특성의 미시적 이해
date2022-04-26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 물에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섬유화 메커니즘 분자 수준에서 규명
date2021-05-12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생명과학 전공 대학생이 본 코로나19 팬데믹 [2]
date2021-05-07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안전성, 전달성, 안정성
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안전성, 전달성, 안정성
생명과학 전공 대학생이 본 코로나19 팬데믹 [1]
date2021-04-22그래핀 합성 시간 단축할 실마리 찾았다
그래핀 합성 시간 단축할 실마리 찾았다
韓-中연구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그래핀 합성 과정 규명
date2021-04-21살아있는 B세포만 쏙쏙, 세포 이상 조기에 발견한다
살아있는 B세포만 쏙쏙, 세포 이상 조기에 발견한다
세포막 지질의 특성만을 이용해 세포 식별하는 형광분자 개발
date2021-04-12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핀의 물 사랑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핀의 물 사랑
꿈의 신소재 그래핀 … 여러 겹 쌓일수록 물 흡수성↓
date2021-04-16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date2021-04-05QLED TV 성능 낮추는 새 원인 찾았다
QLED TV 성능 낮추는 새 원인 찾았다
1조 분의 1초 만에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는 새로운 현상 발견

Popup Zone

  • 모두의 일상이 안전한 대한민국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 당신의 소중한 제보가 더욱 건강한 기초과학연구원을 만듭니다
qr토드를 스캔하세요
- 부당이득 수수행위
- 공정한 직무수행 저해행위
- 건전한 조직문화 저해행위
- 예산(연구비)낭비행위
- 정보 보안 관련 위반 행위
클린IBS지킴이신고시스템

Research Centers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