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Total : 558

뇌세포 속 우체국, ‘골지체’ 작동시키는 핵심 이온 채널 밝혔다
뇌세포 속 우체국, ‘골지체’ 작동시키는 핵심 이온 채널 밝혔다- IBS, 세포 내 단백질 변형․운송 담당하는 골지체의 양이온 채널 규명 -- 손상 시 기억력 감퇴...인지 장애 등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 제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과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김호민 CI(Chief Investigator,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세포 속 단백질의 변형과 운송을 담당하는 ‘골지체’의 형태 유지와 기능에 핵심적인 이온 채널(통로)의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또한, 뇌세포 골지체의 이온 채널 손상과 인지 장애와의 관계를 밝혀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했다.골지체(Golgi ...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6 2024.07.16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C형 간염 바이러스가 남긴 후성유전학적 흔적 발견 -- 염증성 질환 가능성 있어 장기적인 환자 건강 모니터링 필요성 제시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이 있다. 그럼 바이러스는 죽어서 무엇을 남길까. 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회복한 이후 생기는 변화에 대해서는 그간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신의철 센터장(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서울시 보라매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사라져도, 환자의 면역세포에는 지워지지 않는 흔적이 남...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326 2024.07.09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IBS 나노의학 연구단, 무선으로 뇌 회로 제어하는 나노-MIND 기술 개발 -- 감정, 사회성, 식욕 조절 가능성 동물실험서 검증…차세대 BCI 등 응용 기대 -자기장으로 뇌 회로를 조절해 행동·감정의 비밀을 밝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 및 곽민석, 이재현연구위원(연세대 고등과학원 교수) 연구팀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이창준)과 협업하여, 자기장을 통해 특정 뇌 신경회로를 무선 및 원격으로 정밀 제어하는나노-MIND(Magnetogenetic Interface for NeuroDynamics)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인간의 뇌는 약 1,00...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564 2024.07.04
2037년 기술 전망치 넘어선, 차세대 극소형 반도체 소자 구현
2037년 기술 전망치 넘어선, 차세대 극소형 반도체 소자 구현- 2차원 반도체 활용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1차원 금속상 최초 규명 -- 반도체 소자의 초미세화를 앞당길 기술… Nature Nanotechnology 誌 게재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2037년까지 전망한 반도체 기술 수준을 월등히 넘어서는 극소형 반도체 소자가 구현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반데르발스양자 물질 연구단 조문호 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원자 크기 수준으로 작은 너비의 1차원 금속 물질1)을 2차원반도체 기술에 적용해 새로운 구조의 극소형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이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여는 돌파구로, 다양한 저전력 고성능 전자기기 개발의 원천기...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438 2024.07.03
스티커처럼 떼어내 간단히 옮기는 새로운 전사 기술
스티커처럼 떼어내 간단히 옮기는 새로운 전사 기술- 소자 손상‧독성 물질 사용 없이 기판에서 분리 … 소요 시간도 대폭 감소 -- 3차원 고성능 유연 소자 제작도 가능 … Nature Materials 誌 게재 -스티커를 떼어내듯 고성능 전자 소자를 기판에서 손상 없이 분리하는 새로운 전사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과 이상규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김지훈 부산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무손상 건식 전사 기술을 개발했다. 전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고성능 전자기기 제작에 널리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성능 소자는 주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딱딱한 기판에서 제작된...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587 2024.06.25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 두뇌 발달의 ‘열쇠’ 찾았다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 두뇌 발달의 ‘열쇠’ 찾았다- 시상-대뇌피질 연결성이 두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초 규명 -- 뇌 기능 발달 부진으로 인한 자폐, 조현병 등 다양한 뇌 질환 기전 이해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홍석준 참여교수(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뇌의 외적 정보처리와 내적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대규모 기능적 전뇌 네트워크(functional brain network)1)들이 형성되는과정을 아이들의 뇌 영상을 성장 시기별로 분석해 최초로 밝혀냈다.외적 정보처리와 내적 정보처리는 뇌 기능의 아주 근본적인 원리이다. 외부 세계로부터 쏟아져 들어오는 시각적 정보(텍스트)를 처리하는 ‘외부수용’ 기능...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626 2024.06.19
통증과 쾌락의 뇌 속 ‘교차점’ 찾았다
통증과 쾌락의 뇌 속 ‘교차점’ 찾았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으로 통증·쾌락에 모두 반응하는 뇌 영역 확인 -- 통증-쾌락 간 상호작용 통해 만성통증 환자의 우울 증상 이해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우충완 부연구단장(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최명환 교수 연구팀,미국 다트머스대학교 토어 웨이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통증과 쾌락의 감정 정보가 뇌에서 어떻게 공통으로 표상되는지 밝혔다.통증과 쾌락은 부정적·긍정적인 감정의 대표로, 서로 무관해 보이지만 연결돼 있다. 예시로 통증은 쾌락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반면 쾌락은 통증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상호작용이일어나는 뇌 영역 후보로 통증과 쾌락에 모두 ...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003 2024.06.12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 개발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 개발- 조류 눈 구조 모방해 3.6배 더 민첩하게 움직임 감지하는 카메라 개발 -- 물체 감지 필요한 무인 로봇‧드론에 적용 기대…Science Robotic 誌 게재 -수 ㎞ 떨어진 곳에서 움직이는 먹잇감을 포착하는 독수리의 눈을 닮은 새로운 카메라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새 눈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를 개발했다.동물의 눈은 서식지와 생존환경에 맞게 최적화돼 있다. 독수리와 같은 조류의 눈은 높은 나무 위에서 서식하는 생존환경에 맞춰 망막에 깊고 좁은 모양의 중심...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136 2024.05.30
알아서 척척, 동물 행동 읽어내는 인공지능(AI) 프레임워크 개발
알아서 척척, 동물 행동 읽어내는 인공지능(AI) 프레임워크 개발- IBS, 뇌과학-데이터과학 협력으로 복잡한 동물 움직임 인간처럼 구분하는 AI 제시 -- 생물학 연구부터 로보틱스 산업까지 쓰임새 무궁무진한 동물 분석 모델 탄생 -인공지능의 적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제는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동물 행동 분석이 연구현장의 핵심 실험방법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단장(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동물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동물 행동을 분류하고 분석할 수 ...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303 2024.05.22
개인 맞춤형 정밀 의학 정확도 높일 ‘렌즈’개발
개인 맞춤형 정밀 의학 정확도 높일 ‘렌즈’개발- IBS 의생명 수학 그룹, 기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의 부정확한 근본 원인 규명 -- 전사체 빅데이터에서 유용한 생물학적 신호 찾는 데이터 분석 도구 ‘scLENS’개발 -평균이 아닌 개인차를 고려하는 정밀 의학 시대가 열렸다. 사람마다 다른 유전적 특징을 알아내는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덕분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전사체를 해독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김재경 CI(Chief Investigator․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전사체 분석 빅데이터에서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만 골라내는 새로운 도구인 ‘scLENS(si...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459 2024.05.09
처음이전12345다음마지막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