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5년 신년사 | ||||
---|---|---|---|---|---|
부서명 | 원장실 | 등록일 | 2025-01-06 | 조회 | 131 |
첨부 | |||||
2025년 신년사기초과학연구원 가족 여러분,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맞아 여러분 모두의 가정에 희망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을은 푸른색을, 사는 뱀을 뜻하며, 뱀은 허물을 벗고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재생과 풍요를 상징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연구원 가족 여러분이 이 상징처럼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풍요로운 성과를 이루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돌이켜보면, 2024년은 국가적으로도 IBS에게도 결코 쉽지 않은 한 해였습니다. 그러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여러분의 열정과 노력 덕분에 많은 연구성과와 기관의 성장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치매의 원인인 뇌 노폐물을 배출하는 새로운 림프 조직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일상 기압에서 다이아몬드를 생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초미세 반도체 기술을 10년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물질 공정을 제시하는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자들은 세계 과학계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았습니다. 고규영 단장님은 한국인으로서는 두 번째로 유럽 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으로 선출되셨고, 김성기 단장님은 아시아 과학자 최초로 자기공명 분야에서 Gold Medal을 수상하셨습니다. 또한 천진우 단장님은 독일 훔볼트상을 수상하며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으셨고, 구본경 단장님은 국내 최초로 ERC 시너지 그랜트를 획득하여 IBS의 연구 역량을 입증하셨습니다.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의 차미영 CI는 한국인 최초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장으로,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의 올란도 쉐러 부연구단장은 미국 국립 암 연구소 힐먼 암센터의 과학 리더로 선임되며 우리 연구원의 이름을 세계 기초과학계에 널리 알렸습니다. 중이온가속기연구소에서는 RAON을 이용한 과학자들의 실험이 시작되었고, 예미랩에서는 우주입자 측정장치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는 생물안전등급 BL3 시설에 있어 국내 최고수준의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2024년은 기초과학연구원의 역량과 국제 협력이 크게 강화된 해이기도 했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일본 이화학연구소, 이탈리아의 국립핵물리학연구소 및 토리노대학 등과 기관 차원의 실질적인 연구 협력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모든 성과는 연구원, 직원 여러분의 헌신과 열정 덕분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흔들림 없이 최선을 다해 주신 기초과학연구원 구성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노력이 기초과학연구원과 대한민국 기초과학의 밝은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은 IBS가 준비해왔던 체제를 비로소 완성하고 새롭게 태어나는 해가 되어야 합니다. 그동안 우리는 중이온가속기연구소,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그리고 5개 연구클러스터를 출범하였고, 독일-일본-이탈리아와 협력체계를 구축했으며, 예미랩 등 기초과학 연구인프라도 갖추었습니다. 오는 8월에는 본원 2차 연구동과 생활관이 완공될 예정이며 UNIST에 위치할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동의 건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입니다. 2025년에는 우선 기초과학계의 새로운 리더로 성장할 중견급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Junior CI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이를 통해 젊고 잠재력 있는 연구자들의 모험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지원하며, 연구단 내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연구자 경력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의 핵심 전략 연구 분야인 양자정보과학 분야의 연구단 설립이 차질 없이 준비되고 있으며, 국내외의 세계적인 석학들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연구단장 및 CI 선정평가도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와의 협력을 통해 기초과학연구원-막스플랑크 센터 설립이 추진되고 국제 연구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할 전망입니다. 또한, 기초과학연구원과 일본 이화학연구소는 양 기관의 중이온가속기를 공동 활용하여 핵물리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과의 공동 학위 과정 개설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적 기초과학 연구기관과의 실질적인 협력 강화를 통해 기초과학연구원의 세계적 과학기술에의 기여도가 한층 더 커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5년은 도전과 변화의 해가 될 것입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그동안 수많은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해 왔으며, 앞으로도 구성원 여러분의 헌신으로 한 단계 더 성장할 것이라 믿습니다. 저 역시 끝까지 맡은 바 소임을 다하며, 기초과학연구원이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도약하고 대한민국 기초과학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을사년 푸른 뱀의 해가 여러분 모두에게 성장과 새로운 기회를 안겨주는 뜻깊은 한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6일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