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DGIST 공동연구팀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단백질 공학에서 해법 찾았다IBS-DGIST 공동연구팀,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단백질 개발Read More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DNA 복제 재개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 찾았다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DNA 손상 우회에 관여하는 단백질 규명Read More
iBS·UNIST 연구진교모세포종의 항암제 내성 극복할 단서 찾았다!iBS·UNIST 연구진, 세포주 427개 전장 유전체 분석해 표적 유전자 발굴Read More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리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의 새로운 열쇠 될까IBS 연구진, Dyrk1a 유전자 결손에 의한 신경·행동 이상 메커니즘 규명Read More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웨어러블 기기로 내일 기분 미리 안다IBS-KAIST-고려대 공동연구팀, 수면·생체리듬 기반 기분 장애 예측 기술 개발Read More
Featured
2025-01-20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단백질 공학에서 해법 찾았다
2025-01-20DNA 복제 재개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 찾았다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DNA 손상 우회에 관여하는 단백질 규명
2024-12-23리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의 새로운 열쇠 될까IBS 연구진, Dyrk1a 유전자 결손에 의한 신경·행동 이상 메커니즘 규명
2024-09-09투명 햅틱 디스플레이로 가상현실에 촉감을 입히다압력 센서와 결합해 사용자별 일관된 가상 촉각을 구현하는 기술 개발
2022-05-18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
- 암·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
2022-05-03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소리로 다단계 효소반응 조절 -
- 생체 시스템 모방 연구, 신물질 합성 등 다양한 응용 기대 -
2022-04-27‘합-주파수 생성 분광법’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그래핀 계면 특성의 미시적 이해
2022-04-26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 물에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섬유화 메커니즘 분자 수준에서 규명
IBS News & Events Events
Events 리스트 영역
Events 더보기IBS People
Nature Highlights 리스트 영역
더보기Quick Menu
Research CentersOpenclose
물리분야
지구과학분야